목록평균 (3)
Allen's 데이터 맛집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에 전처리한 데이터를 가지고 본격적인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의 소수점 2 자릿수까지만 출력 설정 후 데이터를 년/월에 맞춰 mean, min, max 값의 미세먼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확인합니다. 분석목표에서 말했듯 강남구의 데이터로 분석을 시행하겠습니다. 강남구의 년/월별 미세머지 농도의 평균을 조회하여 temp로 저장합니다. 년/월로 그룹화 하여 미세먼지의 평균 데이터를 조회하여 확인해 봅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월을 출력합니다. 2019년 데이터 중 1~7월이 없기 때문에 12월이 나옵니다. 연별/월별 미세먼지 평균을 구해서 temp로 저장합니다. 미세먼지 2020 칼럼을 추가합니다. '차이'라는 컬럼을 추가하여 미세먼지의 평균값..

산술평균(Arithmetic Mean) 산술평균은 주어진 숫자들의 합을 숫자의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쉽게 말해서 저희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평균과 같습니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제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산술평균을 이해해보겠습니다. 예시: 학생들의 시험 점수 5명의 학생이 수학 시험을 보았다고 가정해봅시다. 각 학생들의 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80, 90, 75, 60, 85 이제 이 점수들의 산술평균을 구해봅시다. 1. 합 구하기: 80 + 90 + 75 + 60 + 85 = 390 2. 숫자의 개수: 5명 산술평균 따라서, 이 학생들의 수학 시험 평균은 78점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산술평균은 주어진 데이터의 값들을 모두 더한 후에 데이터의 개수로 나눠서 평균값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