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쥬피터노트북 (2)
Allen's 데이터 맛집

이번 포스팅에선 분석과 시각화를 해보는 마지막 포스팅으로, 여러 가지 주식 기술 기법들과 지표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별 수익률과 이동평균, 변동성 지표 볼린저 밴드와 % 밴드, RSI, MACD 등의 기법과 지표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와 포스팅의 목표는 해당 주식 기법들을 이해하겠다기 보다는, 이런 기법들이 있고 이것을 저희가 파이썬을 사용해서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를 하며 시각화를 해서 한눈에 알아본다 에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해당 포스팅에선 주식코드가 '005930'인 삼성전자의 주가로 수집하여 진행해 보겠습니다. 데이터 전처리 Shift를 활용하여 전일 대비 수익률을 구해봅시다. 그리고 pandas의 pct_change를 사용하여 구하고 이를 시각화 하여 확인해 봅니다 이..

tqdm은 total quailty data management의 약자입니다. 이는 파이썬에서 진행 상태를 시각화하는 라이브러리로 사용됩니다. 주로 반복문이나 작업이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를 간단하게 확인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for 루프나 다른 반복문에서 요소를 처리하는 동안 해당 작업의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진행 막대를 표시합니다. tqdm을 사용하면 progress 바가 터미널에 표시되며, 현재 작업 진행률, 추정 남은 시간, 처리된 항목의 수 등이 시각적으로 표시됩니다. tqdm을 터미널또는 쥬피터노트북에서 설치합니다. pip install tqdm 아래 그림처럼 tqdm을 import 해주고 실행을 하면 퍼센테이지와 바가 생겨서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